728x90 반응형 상식47 '오토크라시(Autocracy)'의 뜻을 알아보자! 어떤 교수의 강의를 유튜브로 보다가 Autocracy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영어는 아직도 초보를 떼지 못했기 때문에.. 그 단어를 보고 무슨 뜻인지 몰랐습니다. 오토 auto가 들어가는 걸 보니 자동화와 같은 것일까...?라는 생각까지 했었죠. 그래서 우선 사전을 찾아봤습니다. 오토크라시(autocracy)는 현재 가장 중요한 단어였더라고요. 이 autocracy 단어의 뜻이 '전제 정치'입니다. 사전에는 '전제 정치', '독재 정치'라는 뜻을 지녔다고 알려줍니다. 전제 정치는 나치 독일의 파시스트처럼 정치적, 경제적인 모든 권력을 꽉 쥐고 있는 국가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반대의 단어로는 democracy 가 있습니다. 바로 '민주주의', '민주 국가' 라는 뜻의 단어입니다. 우.. 2024. 12. 17. '중과부적'의 뜻을 알아보자! 요즘 참 뉴스에서 어려운 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중과부적! 여러분은 이 고사성어의 뜻을 아십니까... 나라가 혼란스러우니 너무나 많은 상황이 혼재하며 그 상황을 비유하기 위한 고사성어가 사용되는 거 같아요! 무슨 부적 얘기를 하는 것인지 모를 이 단어의 뜻을 알아봤습니다! '중과부적' 한자부터 알아볼까요? 중과부적 衆寡不敵 衆 무리 (중)寡 적을 (과)不 아니 (불)敵 대적할 (적) '수가 적은 무리가 대적하지 못하다.' 라고 직역할 수 있을까요? 네, 사전을 찾아보니 비슷한 뜻이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작은 수로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다!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최근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니, 적은 수가 많은 적을 대적하지 못해 좌절하기보다는 적은 수로 많은 적을 상대한 용기를 치켜세워주는 용도.. 2024. 12. 14. '천양지차'의 뜻을 알아보자! '천양지차' 뉴스에서 이런 고사성어가 나왔습니다. 천... 양... 어릴 때 한문을 필수로 배우긴 했는데, 이런 고사성어도 있었나요? 양이 보이는 것 보니 뭐 양에 관한 말일까요? 천양지차의 한자는 어떻게 되는지 먼저 알아봅시다! 천양지차 天壤之差 天 하늘 (천)壤 땅 (양)之 갈 (지)差 다를 (차) 제가 알기로는 之 갈 (지) 자는 '의'라고 읽는 것으로 압니다. (아닐 수도요..) 그럼 직역하자면, 하늘과 땅의 차이라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하늘과 땅의 차이라... 가장 높은 하늘과 가장 낮은 땅은 극과 극의 차이입니다. 사전의 뜻을 찾아봤습니다! '하늘과 땅의 사이처럼 엄청난 차이' 이렇게 본다면 정말 엄청난 차이겠네요. 두 가지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하늘과 땅을 비유한 것이 재밌습니다... 2024. 12. 12. '자충수'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 뉴스 기사에서 '자충수'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일상에서 종종 접하는 단어이지만, 깊게 생각하진 않고 어느 정도 감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세상 누구나 '자충수'를 둘 수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그것이 용서가 되지 않는 범위에 이를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럼 이번엔 '자충수'의 뜻을 간단히 알아봅시다! '자충수'는 바둑 용어라고 합니다. 바둑에서 자충이 되는 수에 놓는 걸 의미합니다. 바둑은 문외한이라 깊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일상에서 이 자충수를 비유해 많이 사용하고 있죠. 먼저, 한자어를 보도록 합시다! 자충수 自充手 自 스스로 (자)充 채우다 (충)手 손 (수) 직역하자면 '자기 스스로 채우다'로 보여집니다. 바둑 용어에서 해석하자면, 뭔 말인지 모를 조금은 추상적으로 보이는 해석에 .. 2024. 12. 5.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