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해설10

'가불기'의 뜻을 알아보자!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가불기'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가불기... 이것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주 쓰이는 신조어라고 하더군요. 무슨 해양생물 이름 같기도 한 이 단어에 대해 알아봐야 했습니다.      '가불기'는 가불하는 기간의 뜻이 아닙니다. 영상에서도 '어떤 행동이나 말로 반박하려고 해도 궁지에 몰리고 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쓰더라고요. 맞습니다. 찾아보니 그 뜻도 비슷했어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신조어로 쓰이고 있는 단어인데, 대전 격투 게임에서 가드를 불가하게 하여 공격하는 기술에서 유래된 듯합니다. 가드를 올리지 못하고 공격을 받으면 처참히 질 수밖에 없겠네요.  뜻을 제대로 정의하자면, 어떤 상황에서 상대가 어떻게 반응하든불리한 결과를 피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일상 생활에서도.. 2025. 3. 2.
'함구하다'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에 이런 말을 듣게 됐습니다. 함구하다를 모르면 무식한 거예요?  저는 '무식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일반인이지만, 평소에 책도 많이 읽고 종종 글도 쓰고 그렇습니다만, 모르는 말이 아직도 너무 많이 나오고, 그것들은 대부분 한자어입니다. 또한, 이미 알고 있는 단어나 몰랐다가 알게 된 단어도 시간이 지나면 의미를 조금씩 잊게 되기도 합니다. 뭔가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비상한 두뇌가 있지 않는 이상 많이 접하여 익숙해지고 더 나아가 그것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만 그것을 완벽히 알게 됐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이 '함구하다'가 무슨 뜻인지 짧게나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구하다.. 뭘 구한다는 의미일까요? 우선 '한구'의 한자를 보겠습니다. 함구 緘.. 2025. 1. 12.
'중과부적'의 뜻을 알아보자! 요즘 참 뉴스에서 어려운 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중과부적! 여러분은 이 고사성어의 뜻을 아십니까... 나라가 혼란스러우니 너무나 많은 상황이 혼재하며 그 상황을 비유하기 위한 고사성어가 사용되는 거 같아요! 무슨 부적 얘기를 하는 것인지 모를 이 단어의 뜻을 알아봤습니다!  '중과부적' 한자부터 알아볼까요? 중과부적 衆寡不敵 衆 무리 (중)寡 적을 (과)不 아니 (불)敵 대적할 (적) '수가 적은 무리가 대적하지 못하다.' 라고 직역할 수 있을까요? 네, 사전을 찾아보니 비슷한 뜻이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작은 수로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하다!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최근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니, 적은 수가 많은 적을 대적하지 못해 좌절하기보다는 적은 수로 많은 적을 상대한 용기를 치켜세워주는 용도.. 2024. 12. 14.
'자충수'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 뉴스 기사에서 '자충수'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일상에서 종종 접하는 단어이지만, 깊게 생각하진 않고 어느 정도 감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세상 누구나 '자충수'를 둘 수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그것이 용서가 되지 않는 범위에 이를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럼 이번엔 '자충수'의 뜻을 간단히 알아봅시다!  '자충수'는 바둑 용어라고 합니다. 바둑에서 자충이 되는 수에 놓는 걸 의미합니다. 바둑은 문외한이라 깊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일상에서 이 자충수를 비유해 많이 사용하고 있죠. 먼저, 한자어를 보도록 합시다! 자충수 自充手 自 스스로 (자)充 채우다 (충)手 손 (수) 직역하자면 '자기 스스로 채우다'로 보여집니다. 바둑 용어에서 해석하자면, 뭔 말인지 모를 조금은 추상적으로 보이는 해석에 .. 2024. 1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