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상식47

'이론, 지론' 무슨 뜻일까? 글을 쓰다가 이 두 단어가 갑자기 떠올랐습니다. '이론'과 '지론' 대강 어떤 뜻인지 느낌으로는 알고 있었는데, 실생활에서 써먹어보려니 조금 헷갈리더라고요 ㅜㅜ 여러분은 어떤 뜻인지 알고 계시나요??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이론과 지론의 뜻을 알아보고 차이를 비교해봤습니다! 우선, 이론과 지론의 한자와 영어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이론(理論, theory)理 다스릴 (이)論 논할 (론) 다스리고 논하다고 직역할 수 있겠네요. * 지론(持論, personal theory / personal view) 持 가질(지)論 논할 (론) 직역하자면 가지고 있는 것을 논하다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럼, 사전상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론? 객관적이고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체계적인 설명 체계 지론? 어떤 사람이 .. 2025. 5. 5.
'선종'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 교황이 선종하셨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애도하는 느낌의 이미지와 글을 보고 아.. 돌아가셨구나 하고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선종이란 단어를 보고 문장을 이해할 수는 없었습니다. 선종?... 국왕을 말하는 걸까... 그래서 간단하게 이 선종이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볼까 합니다! 선종은 한자로 이렇게 쓴다고 합니다. 선종 善終 善 착할 (선)終 마칠 (종) 착하게 마치다라고 직역하게 되는데, 선종이란? 평안하고 존업하고 생을 마감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특히 천주교에서 쓰이는 명사로서 임종 때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이라고도 하네요. 제가 무교라서 저 명사를 몰랐던 것일 수도 있겠어요.. 지도자나 어르신 등에 예를 갖출 때도 쓰는 존칭이라고 하니 잘 기억하고 있다가 일상에.. 2025. 4. 25.
'알타시아'의 뜻을 알아보자! 우리나라는 거대 중국과 미국의 사이에 껴서 경제적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었다고 합니다.그래서 우리나라는 이 두 거대 국가와의 교류가 정말 중요하죠!그런데 지금 이 두 나라의 관계가 점점 악화되어 가는 상황으로 보입니다.두 나라의 관계가 그나마~ 우호적이었던 시기에는 모르겠으나,이제 우리나라는 중국과 미국 중 한쪽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때를 대비해 우리는 철저히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이 상황에서 '알타시아'라는 단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알타시아(Altasia)란 '대안적인(Alternative)'과 '아시아(Asia)'의 합성어라고 합니다.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아시아의 새로운 공급망을 의미한다고 합니다.이 용어는 2023년 3월 영국의 경제지 '이코노미스트'에서 처음 사용.. 2025. 3. 22.
'엥겔지수(Engel's coefficient)'에 대해 알아보자! 중고등학교 다닐 때 경제 시간에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단어 아닌가요? ㅎㅎㅎ 그러나 역시나 세월이 흘러 기억 속에서 사라진 단어겠죠.  저또한 그렇습니다. 외우기 급급한 시간을 보냈기에 자주 쓰는 단어가 아니라면 시험이 끝나면 머릿속에서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회사 직원 중 어떤 분이 엥겔지수라는 단어를 말했지만, 저는 어디서 들어봤는데 떠올리지 못했습니다.  '엥겔지수'는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이 19세기에 연구하면서 알려졌다고 합니다.  '엥겔지수'는 가게의 총소득(또는 총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경제 지표라고 합니다.  우리가 돈을 엄청 쓰는데 그중에 식료품비의 비율을 말합니다.  엥겔지수는 비율 % 로 표기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제 엥겔지수는 대략 100% 중 70%.. 2025.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