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단어13 '엥겔지수(Engel's coefficient)'에 대해 알아보자! 중고등학교 다닐 때 경제 시간에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단어 아닌가요? ㅎㅎㅎ 그러나 역시나 세월이 흘러 기억 속에서 사라진 단어겠죠. 저또한 그렇습니다. 외우기 급급한 시간을 보냈기에 자주 쓰는 단어가 아니라면 시험이 끝나면 머릿속에서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회사 직원 중 어떤 분이 엥겔지수라는 단어를 말했지만, 저는 어디서 들어봤는데 떠올리지 못했습니다. '엥겔지수'는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이 19세기에 연구하면서 알려졌다고 합니다. '엥겔지수'는 가게의 총소득(또는 총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경제 지표라고 합니다. 우리가 돈을 엄청 쓰는데 그중에 식료품비의 비율을 말합니다. 엥겔지수는 비율 % 로 표기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제 엥겔지수는 대략 100% 중 70%.. 2025. 3. 13. '함구하다'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에 이런 말을 듣게 됐습니다. 함구하다를 모르면 무식한 거예요? 저는 '무식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일반인이지만, 평소에 책도 많이 읽고 종종 글도 쓰고 그렇습니다만, 모르는 말이 아직도 너무 많이 나오고, 그것들은 대부분 한자어입니다. 또한, 이미 알고 있는 단어나 몰랐다가 알게 된 단어도 시간이 지나면 의미를 조금씩 잊게 되기도 합니다. 뭔가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비상한 두뇌가 있지 않는 이상 많이 접하여 익숙해지고 더 나아가 그것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만 그것을 완벽히 알게 됐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이 '함구하다'가 무슨 뜻인지 짧게나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구하다.. 뭘 구한다는 의미일까요? 우선 '한구'의 한자를 보겠습니다. 함구 緘.. 2025. 1. 12. '자충수'의 뜻을 알아보자! 최근 뉴스 기사에서 '자충수'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일상에서 종종 접하는 단어이지만, 깊게 생각하진 않고 어느 정도 감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세상 누구나 '자충수'를 둘 수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그것이 용서가 되지 않는 범위에 이를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럼 이번엔 '자충수'의 뜻을 간단히 알아봅시다! '자충수'는 바둑 용어라고 합니다. 바둑에서 자충이 되는 수에 놓는 걸 의미합니다. 바둑은 문외한이라 깊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일상에서 이 자충수를 비유해 많이 사용하고 있죠. 먼저, 한자어를 보도록 합시다! 자충수 自充手 自 스스로 (자)充 채우다 (충)手 손 (수) 직역하자면 '자기 스스로 채우다'로 보여집니다. 바둑 용어에서 해석하자면, 뭔 말인지 모를 조금은 추상적으로 보이는 해석에 .. 2024. 12. 5. '노르딕(패션)'의 뜻을 알아보자! 날씨가 추워지는 스웨터나 카디건을 입는 사람들이 많이 보입니다. 이러한 소재의 옷만큼 따뜻한 것도 없습니다. 보는 사람에게도 포근함이 전해지는 거 같아요. 최근 많이 보이는 이런 패션!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봐왔었지 않나 싶습니다. 바로, 할머니옷이죠.. ㅎㅎㅎ (그렇게 부른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느낌의 옷을 입는 패션이 전문용어?로는 노르딕 패션으로 불리운다고 합니다! 할머니 옷이라고 하면 뭔가 편견이 있는 말 같지만, 뭐 좋은 느낌의 의미로 생각해보도록해요! 저희 할머니는 농사짓는 시골분이라 이런 패션보다는 역시 시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옷들을 주로 입으셨죠. 하지만, 어쩌다가 입으시는 도톰한 스웨터 재질의 옷을 볼 때면 귀여운 느낌을 받았던 거 같습니다. 노르딕 Nordic 은 북유럽이라.. 2024. 12. 1.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