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살다 보면 이런 말을 보고나 듣곤 합니다.
정량적으로 수치화해봤을 때 ~ , 정성적으로 해석해 본 결과 ~
정량, 정성... 각 단어만으로도 아리송한데 차이도 있다고?

그래 오늘은 정량적, 정성적의 뜻과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한자 뜻을 먼저 찾아봤어요!
정량 定量
定 정할 정
量 헤아릴 양
정량은 제 기억으로는 요리하는 프로그램에서 가끔 들어본 거 같아요.
계량한다라고도 하고, 정량대로 한다라고도하는 거 같더라고요.
한자의 뜻을 직역하자면 헤어려 정하다라고 하는데요.
'정량적'은 '수치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럼, 정성적의 한자는 어떻게 쓰는지 알아봅시다!

정성 定性
定 정할 정
性 성질 성
직역하자면 성질을 정한다라고 볼 수 있겠네요!
성질을 정한다... 아까 정량은 수치를 분석하는 거였는데 말이죠.
물질의 성질이나 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정성이라고 합니다.
'정성적'이라고 함은 '숫자로 측정 불가능한 감정, 의견, 해석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정성적, 정량적은 완전히 다른 부분을 측정하는 거였네요!

그럼, 아래의 표로 둘의 차이점을 확인해볼까요?
정량적 | 정성적 | |
측정 방식 | 숫자, 통계 | 언어, 서술 |
데이터 형식 | 객관적, 수치 데이터 | 주관적, 서술 데이터 |
연구 방법 | 설문조사, 실험, 데이터 | 인터뷰, 관찰, 사례연구 |
목표 | 패턴과 경향 분석 | 의미와 동기 이해 |
둘은 각각 따로 쓰는 것보다 적절히 섞어서 쓴다면 조사 결과를 더욱 효과적이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왕적'의 뜻을 알아보자! (0) | 2025.02.19 |
---|---|
'내우외환'의 뜻을 알아보자! (0) | 2025.02.19 |
'통렬하다'의 뜻을 알아보자! (0) | 2025.02.15 |
'구정'의 뜻을 알아보자! (몰랐던 사실) (0) | 2025.01.31 |
'녹진하다'의 뜻을 알아보자!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