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내각제'의 뜻을 알아보자!

by 푸르스트 2025. 5. 8.
728x90
반응형

곧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기사에 이런 말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내각제'

 

솔직히 이런 단어들을 들어보고 넘어가기만 했지, 뜻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어 이렇게 블로그에 적어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내각제에 대해 간단히 뜻을 알아보고 가려고 합니다.

 

 

'내각제(內閣制)'의 한자를 먼저 볼까요?

 

안 (내)

누각, 기관 (각)

제도 (제)

 

안 내 자 빼고는 정말 어려운 한자들입니다.. ;;;

 

간단히 말해 내각제란!

 

내각제? 정부 내부의 관료(장관)들이 중심이 되는 정치 제도라고 합니다.

 

 

즉, 총리를 중심으로 한 장관들이 국회의 신임을 받아 국정을 운영하는 정치제도라고 해요.

 

대표적인 나라로는 가까이에 있는 일본을 들 수 있습니다.

 

일본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처럼 대통령보다 총리라는 사람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습니다.

 

실질적 국가 운영자는 총리이기 때문이죠.

 

대통령제와 내각제의 차이점을 표로 비교해 볼까요?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내각제로 된다면?

 

네, 지금처럼 대통령이 국가 최고권력자가 아닌 국회의 신임을 받은 총리 중심의 정부 운영체계가 되는 것입니다.

 

대통령은 실질적 권한이 없는 거의 명목상의 국가 원수가 되는 것입니다.

 

 

현재와 내각제의 여러 가지 장단점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저는 정치를 잘 몰라서 깊게 이야기할 능력은 없습니다만,

 

우리나라가 가장 있는 방향으로 유지와 변화의 선택의 기로 앞에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728x90
반응형